공지사항

광주 국가혁신클러스터 대표산업 육성을 위한 R&D과제 기술수요조사(2차) 공고

작성일
2022.11.30 13:17:21
조회
872

광주테크노파크 공고 제 2022 - 266

광주 국가혁신클러스터 대표산업 육성을 위한 R&D과제 기술수요조사(2) 공고

산업통상자원부와 광주광역시에서 추진하는광주 국가혁신클러스터(국가혁신융복합단지)육성사업?1단계 Phase-(‘23~’25) 신규 과제 발굴을 위한 기술수요조사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오니 많은 참여바랍니다.

20221130

()광주테크노파크 원장

1. 추진개요

광주 국가혁신클러스터(법정명 : 국가혁신융복합단지) 특성화된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 대표산업 및 클러스터 육성을 위한 R&D 지원

2. 목적

광주 국가혁신클러스터 대표산업 육성을 위한 R&D 프로젝트 1단계 Phase-(’23~’25) 신규 과제 발굴 및 기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

* 1단계 Phase-기간() : ’23. 6~ ’25. 12(31개월) * 기간은 사업마다 상이함(붙임 2 참고)

3. 조사 대상

(대상산업) 에너지신산업

- 광주 지역 내 소재한 산학연을 대상으로 KSIC코드 핵심/연관산업 기반의 타겟품목(분산발전, 에너지저장, 에너지관리)R&D 통합 수요조사 실시

구분

대상산업

KSIC코드

세부분야

비고

국가혁신

클러스터 1단계

Phase-

에너지

신산업

26299

그 외 기타 전자부품 제조업

핵심산업

28111

전동기 및 발전기 제조업

28123

배전반 및 전기 자동제어반

28202

축전지 제조업

29176

증류기, 열교환기 및 가스발생기 제조업

26294

전자코일, 변성기 및 기타 전자 유도자 제조업

연관산업

28112

변압기 제조업

28114

에너지 저장장치 제조업

28201

일차전지 제조업

28302

기타 절연선 및 케이블 제조업

28303

절연 코드세트 및 기타 도체 제조업

26224

전자부품 실장기판 제조업

28119

기타 전기 변환장치 제조업

26129

기타 반도체 소자 제조업

27215

기기용 자동 측정 및 제어장치 제조업

28122

전기회로접속장치 제조업

29174

기체여과기 제조업

29299

그 외 기타 특수 목적용 기계 제조업

58221

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

58222

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

타겟품목

주력제품ㆍ부품소재

핵심기술

분산 발전

시스템

태양광

실리콘 태양전지, 박막형 태양전지

, 모듈, 시스템부품

연료전지

고체산화물연료전지(SOFC), 고분자연료전지(PEMFC), 용융탄산염연료전지(MCFC)

, 스택, BOP, 분리판, 전극, 전해질 및 소재 등

바이오

바이오에탄올, 바이오디젤

-

열에너지

(지열/태양열/폐열)

바이너리 발전기, 지열플랜트, 시추기, 히트펌프

원료/소재, 부품, 모듈/시스템

풍력

소형/도시형 풍력시스템

발전기, 블레이드, 컨트롤러, 인버터 등

에너지

관리 시스템

전력계측시스템

AMI, 디지털전력기기

전력센서

전력제어시스템

PCS, PMS, BMS

전력반도체, SoC, 전력소자/부품

전력IT

ERP, SCADA, 배전반, DLC, PLC

EMS 알고리즘, EMS OS(Operating System)

에너지

저장

시스템

리튬이온전지

양극, 음극, 전해질, 분리막 소재, , Pack, 모듈, 시스템

원료/소재기술, 단위부품 및 시스템 기술

레독스흐름전지

셀 프레임, 멤브레인, BMS, BOP, PMS

부품소재 기술, 전력변환기술

나트륨황전지

전해질, /음극 소재, 절연링, Seal, 보호관, PCM, BOP

, 모듈 기술,

BMS/PMS 시스템 기술

울트라커패시터전지

전극소재, 모듈 관리장치

소재 및 셀 기술, 모듈 밸런싱기술, 제조 기술

(조사항목) * 세부 조사항목은 [붙임2. 기술수요조사서 양식] 참조

분야

조사항목

기술개발

제안 기술명, 지원 필요성, 개발목표와 내용, 타사업과 중복성, 기대효과 등

(세부내용) * R&D유형별 정의는 [붙임3. R&D 유형별 개요] 참조

구분

사업구분

내용()

국가혁신

클러스터 1단계

Phase-

중추기술

R&D

(규 모) 컨소시엄당 최소 10억원 ~ 23.9억원

* (총괄과제) 38억원/

* (세부과제) 35억원/

(지원기간) ‘23.6 ~ ’25.12(31개월)

(공모방식) 지정공모

(과제구성) 패키지과제(총괄 1+ 세부 N)

* 세부과제간 기술연계체계 확보(병렬형 과제 지양)

(컨소시엄) 국가혁신융복합단지 내 일정수준의 규모·역량을 갖춘 중핵기업, 중견기업, 기관 등이 주도하여 컨소시엄 구성

문제해결

R&D**

(규 모) 과제당 5억원 내외(최소 4개 이상 과제 선정 예정)

* (과제별) 35억원/

(지원기간) ‘23.6 ~ ’24.12(19개월)

(공모방식) 품목지정(중추기술 R&D 연계 품목)

(컨소시엄) 국가혁신융복합단지 내 기업단독 관련 기업·기관 간 공동 컨소시엄 구성

거점기관 개방형혁신

R&D***

(규 모) 과제당 5억원 내외(최소 2개 이상 과제 선정 예정)

* (과제별) 35억원/

(지원기간) ‘23.6 ~ ’25.12(31개월)

(공모방식) 자유공모

(컨소시엄) 국가혁신융복합단지 내 기업·기관 간 공동 컨소시엄 구성

* 과제 기획 및 중앙 컨설팅 결과 등에 따라 지원규모 등은 변경될 수 있음

** 문제해결 R&D는 중추기술R&D와의 연계사항 도출을 위해 과제 기획 및 중앙 컨설팅 결과 등에 따라 사업내용 등은 변경될 수 있음

*** 거점기관 개방형혁신 R&D는 클러스터 내 OpenLAB공간(광주TP 생활지원로봇센터 1) 연계사항 도출을 위해 과제 기획 및 중앙 컨설팅 결과 등에 따라 사업내용 등은 변경될 수 있음

4. 제안 자격

광주 국가혁신클러스터 대표산업 발전에 관심이 있고 동 사업에 참여의사가 있는 국가혁신융복합단지* 내 소재 기업**, 대학 및 연구기관, 혁신기관 등

* 광주 국가혁신융복합단지 : 첨단과학국가산단(1~2단계), 진곡일반산단, 평동1~2차 일반산단, 평동3차 일반산단, 하남일반산단, 남구도시첨단산다, 광주에너지밸리일반산단, 빛그린국가산단(광주)

** 가가치세법 및 동법 시행령 제8조에 따라 광주 국가혁신융복합단지 내 공고일 현재 본사, 공장, 연구소 1개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

5. 접수 기간 및 방법

(접수기간) 2022. 11. 30() ~ 12. 6(), 17시 까지

(접수방법) 온라인 접수(www.gjeibiz.com)

* 수요조사서 양식 다운로드 및 제출은 광주 에너지밸리 기업지원포털(www.gjeibiz.com)

(접수 및 문의처)

담당부서

사업구분

담당자

연락처

메일주소

지역산업뉴딜본부 에너지산업지원센터

중추기술 R&D

문제해결 R&D

배길현 선임

062-602-7261

tree@gjtp.or.kr

거점기관 개방형혁신 R&D

장승환 전임

062-602-7265

js9305@gjtp.or.kr

6. 기타사항

동 수요조사는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계획에 따라 대표산업 육성을 위한 신규 R&D 과제 기획 의견 수렴 과정임. 따라서 각 사업의 주관/참여 기업()국가혁신융복합단지(국가혁신클러스터)”지정지구*에 입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 참여가 제한이 됨

* [붙임4. 광주 국가혁신클러스터 개요 및 지정지구 현황] 참고

국가예산의 중복투자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 기술개발 과제로 지원된 기술수요는 제외

-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(www.ntis.go.kr)에서 제안하는 수요의 중복성을 사전 검토한 후 제출해야함

아래의 경우는 기초자료 활용대상에서 제외됨

- 접수기간 내에 수요조사서를 등록하지 않고 추후 개별로 제출하는 경우

- 요구양식 이외의 양식으로 수요조사서를 제출하는 경우

- 제출 시 첨부파일(수요조사서)을 누락한 경우

수요조사 결과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기획?공모(지정공모 또는 품목지정)될 수 있으며, 동 수요조사(기획)와 향후 지원기업(기관) 선정(평가)과는 무관함

신규 사업 기획을 위해 제출한 수요조사서 채택(활용 결과)여부는 접수기업(기관, 제안자)에게 통보되지 않음

- 수요조사를 통해 채택된 기술개발 과제의 수행기업(기관)2023년도 별도 평가를 통하여 선정되므로 수요 제안자와 과제 수행기업은 다를 수 있음

제출된 서류는 일절 반환하지 않고 동 사업의 향후 과제(지정 또는 품목) 공모를 위한 “RFP 작성“R&D 정책방향 수립에 활용되며, 기획과정에서 관련분야 전문가 등 제3자에게 제공될 수 있음

7. 추진일정()

11

12

12

’23.1

’23.2

’23.3

R&D

기술수요조사 실시

과제기획 착수, 수요조사, 전문가 검토 등 실시

R&D프로그램

설계, 기술성?
경제성?안전성
등 검토

기획보고서 및

RFP 초안작성,

KIAT 제출 완료

중앙 컨설팅,

기획보고서 및

RFP 보완

중앙/지역

기술위원회 개최

및 사업 공고

지역

지역

지역

지역

중앙, 지역

중앙, 지역

* 상기 일정은 중앙(산업부)의 추진 일정에 맞추어 진행되므로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

붙임 1. 공고문 1.

2. 기술수요조사서 양식 각 1.

3. R&D 유형별 개요 1.

4. 광주 국가혁신클러스터 개요 및 지정지구 현황 1. .
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?